본문 바로가기
보석과 귀금속

골드 도금과 골드 필드

by 솔리드스톤 2023. 10. 30.
반응형

골드 도금이란?

금도금의 방법으로 금을 수은에 용해시켜 가열해서 수은을 날려 보내고 금만을 표면에 남게 하는 아말감(Amalgam)을 사용하여 금의 막을 얇게 또는 두껍게 조절할 수 있었으나 수은이 인체에 매우 쉽게 흡수되는 맹독이기 때문에 이 방법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19세기부터 전기도금이 시작되는데 금도금은 장식용으로도 뛰어나지만 전자공업에서 미소한 전자부품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온도에서도 산화막이 생기지 않고 레이저 광산과 같이 높은 에너지를 다루는 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골드 도금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표면에 금을 부착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골드 필드란?

골드 필드(Gold Filled)란 금장을 뜻하는 것으로 금지금과 대금을 열과 압력으로 접착시킨 후 압연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열과 압력으로 대금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기적인 방법으로 금이 얹혀 있는 상태인 도금보다 견고하고 변색이 잘 되지 않습니다.

골드 도금과 골드 필드의 공통점

골드 필드는 대체로 10미크론 이상의 두께의 금이 붙어져 있는데 이 정도의 두께는 전기도금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두께만으로는 골드필드와 전기 도금을 구별할 수 없습니다.

또한 겉으로 보기에는 골드 도금과 골드 필드 모두 금으로 덮여 있는 상태이므로 도금이 벗겨지지 않는 한 육안으로 어떤 것이 도금이고 필드인지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골드 도금과 골드 필드의 차이점

골드 도금은 표면의 색이 아름답고 도금층은 순금보다는 경도가 크므로 금장보다 오히려 오래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금의 미립자가 전기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뿐 금의 완전한 막을 이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골드 필드에 비해 잘 벗겨집니다.

이런 현상은 금의 두께가 클수록 그 경향이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더욱이 수소가 흡착되어 있으므로 도금층이 다공성이며 충격이나 굴곡으로 떨어질 우려도 있고 산소나 기타 부식성 가스가 도금막을 통과하여 대금을 부식 또는 산화시킬 수 있습니다.

골드 필드에 사용되는 금 합금

골드 필드에는 일반 금지금과 같은 것이 사용되며 색상은 적, 록, 황 등 각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이 가능합니다.

소프트 화이트 골드를 포함하여 18금에서 8금까지 여러 가지 품위가 사용됩니다.

시계 케이스나 밴드에는 18K 또는 14K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14K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거의 30미크론 이상이 사용되고 최대 90미크론까지도 있습니다.

골드 필드의 판재를 절단하여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3개의 층이 보이는데 제1층은 금 합금, 제2층은 대금, 제3층은 돌담과 같이 보이는 균일한 고용체 조직입니다.

제2층은 금과 대금이 융착해서 생긴 합금층으로 표면이 18K나 14K라 하더라도 이 층은 10K 이하가 됩니다.

골드 필드의 두께는 10미크론 이상이면 좋으나 이하이면 표면으로 제2층이 노출되는 경우가 있으며 표면이 산화되어 구름이 끼며 변색이 됩니다.

 

골드 필드에 사용되는 대금

1. 단동

구리 80~90%, 나머지는 아연이며 연마하면 아름다운 금색이 됩니다.

황동보다는 붉기 때문에 단동이라고 하며 금 도금을 할 때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 금대용으로 사용될 때도 있습니다.

2. 주석 합금 단동

단동에 주석이 2~5% 가량 들어있는 것을 말하며 탄력이 있고 경도도 높으며 금색으로 아름답습니다.

3. 황동

구리 66~70%, 아연 30~34%의 합금이며 단동보다 황색기가 많고 푸른색이 돌며 값이 저렴합니다.

4. 양백

니켈 10~14%가 들어있는 구리 합금이며 니켈 분이 많을수록 희고 아름다우나 너무 강하고 어닐링 온도가 높기 때문에 금장에는 부적당합니다.

5. 은

주석이 있는 단동으로 만든 금장은 여금에 땀에 변색되거나 피부가 푸르게 물드는 경우가 있으므로 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