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 다이아몬드 광산 및 소유 구조
🇷🇺 러시아
- 미르니(Mirny), 우다치니(Udachny), 아이칼(Aikhal), 주빌리(Jubilee) 등 주요 광산은 대부분 ALROSA가 소유 및 운영합니다. ALROSA는 러시아 정부가 지분을 보유한 국영 기업으로, 2023년 기준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의 약 31%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 보츠와나
- 주와넹(Jwaneng), 오라파(Orapa) 등 주요 광산은 Debswana가 운영합니다. Debswana는 De Beers와 보츠와나 정부가 각각 50%씩 지분을 보유한 합작 회사입니다.
🇨🇦 캐나다
- 디아빅(Diavik) 광산은 Rio Tinto가 운영하며, 에카티(Ekati) 광산은 Arctic Canadian Diamond Company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 앙골라
- 카토카(Catoca) 광산은 Endiama(앙골라 국영 기업)와 ALROSA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습니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 베네티아(Venetia) 광산은 De Beers가 소유하고 있으며, 남아공 최대 규모의 다이아몬드 광산입니다.
주요 다이아몬드 생산국 (2022년 기준)
순위국가생산량 (백만 캐럿)
1 | 러시아 | 약 42 |
2 | 보츠와나 | 약 24 |
3 | 콩고민주공화국 (DRC) | 약 9 |
4 | 캐나다 | 약 7 |
5 | 남아프리카공화국 | 약 4 |
러시아는 세계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주요 생산국 중 하나입니다.
주요 다이아몬드 생산 기업
기업명주요 운영 국가시장 점유율 (2023년)
ALROSA | 러시아 | 약 31% |
De Beers | 보츠와나, 남아공 등 | 약 20% |
Rio Tinto | 캐나다, 호주 등 | 약 10% |
ALROSA는 러시아 국영 기업으로, 세계 최대의 다이아몬드 생산 기업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아직 채굴되지 않은 다이아몬드 매장량은 약 11억 캐럿(1.1 billion carats)로 추정됩니다. 이 중 약 86% 이상이 러시아, 콩고민주공화국(DRC), 보츠와나 세 나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주요 국가별 다이아몬드 매장량 (미채굴 기준)
국가매장량 (백만 캐럿)비율
🇷🇺 러시아 | 650 | 약 52% |
🇨🇩 콩고민주공화국 | 150 | 약 13% |
🇧🇼 보츠와나 | 90 | 약 8% |
🇿🇦 남아프리카공화국 | 54 | 약 5% |
🇦🇺 호주 | 39 | 약 3.5% |
기타 국가 | 120 | 약 10% |
앙골라의 다이아몬드 매장량
앙골라는 약 7억 3,200만 캐럿(732 million carats)의 다이아몬드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1,400억 달러의 가치로 평가됩니다 . 이 중 90% 이상이 1차 광상(primary deposits)에 위치해 있어 향후 채굴 잠재력이 매우 높습니다.
향후 전망
다이아몬드 수요는 향후 수십 년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까지 연간 수요가 약 2억 9,200만 캐럿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에 따라 아직 채굴되지 않은 매장량의 전략적 가치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 참고 사항
- 소유 구조: 일부 광산은 국영 기업과 다국적 기업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츠와나의 주요 광산은 De Beers와 보츠와나 정부가 공동 소유하고 있습니다.
- 시장 변화: 최근 합성 다이아몬드의 등장과 소비자 선호 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다이아몬드 시장에도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